메뉴

공공성 극대화한 ‘주거환경개선사업’ 눈길

재개발보다 열악한 조건에서 시행…일대 주거환경 개선
매년 신규지정 감소 추세…수원, 대전 등에서 분양 나서

[퍼스트경제=김근식 기자] 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해 신흥주거타운으로 조성되는 지역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. 일대 주거 여건을 크게 바꾸는데다, 공공성을 띠고 있어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바도 크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의 중론이다.

 

주거환경개선사업은 노후·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데다 기반시설이 열악한 곳에서 진행된다. 재개발, 재건축이 부동산 가치 증대가 목적이라면,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말 그대로 지역 환경을 개선하는데 방점을 둔다.

 

사업 추진은 주택 소유자가 주거지를 개량하고 시장·군수 등은 정비기반시설을 정비하는 현지개량방식, 현지개량이 곤란한 경우 지구 내 건축물이나 토지 보상 후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공동주택방식 등으로 추진된다. 지난 1989년 ‘도시 저소득 주민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임시조치법’ 발효와 함께 시작됐다. 또 지난 2003년 부터 ‘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’으로 통합되면서 정비사업으로 분류하고 있다.

 

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 따르면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진행된 지난 1989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정된 구역은 총 1049개소다. 지역별로 서울이 141곳으로 가장 많다. 다음은 부산이 127곳, 전북 103곳, 전남 79곳, 광주 74곳 등으로 구역이 지정됐다. 지난 2016년 27곳이 정해진 이후 19년 8곳, 20년 2곳 등 매년 신규 지정은 감소 추세다.

 

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해 탈바꿈한 곳은 부동산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다. 지난 5월 인천 미추홀구 용마루구역1블록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해 선보인 ‘용현자이 크레스트’ 1순위 청약에서 평균 26.9대 1 기록했다. 2019년 경기 수원 수원고등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A-1블록에서 공급된 ‘수원역푸르지오자이’ 역시 평균 37.25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청약을 마감했다.

 

주택업계 관계자는 “보통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진행되는 곳은 지역 구도심으로 입지는 우수하지만 주택이 노후화되고 도로 등이 잘 마련되지 않아 부동산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”고 말했다.

 

이 관계자는 또 “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진행되고 주택은 물론 인프라까지 갖춰지면 신흥주거지로 떠오르며 인기를 얻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탈바꿈되는 지역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”고 덧붙였다.